NHK배 TV 바둑 토너먼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는 일본기원 소속 프로 바둑 기사들이 NHK배 챔피언 타이틀을 놓고 경쟁하는 대회이다. 1946년 라디오 바둑 방송으로 시작하여, 1953년 아베 신노스케의 제안으로 토너먼트가 시작되었다. 1962년 텔레비전 방송으로 전환되었으며, 현재는 50명의 기사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한다. 우승 상금은 500만 엔이며, 사카타 에이오는 최다 11회 우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 - 왕리청
왕리청은 일본에서 활동하는 프로 바둑 기사로, 1972년 입단하여 신예왕전 우승, LG배 세계기왕전 우승, 춘란배 우승 등 국내외 기전에서 활약했으며, 기성전 3연패를 달성하고 문화청 장관 표창을 받았다. -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 - 왕밍완
왕밍완은 타이베이 출신으로 일본에서 활동하며 혼인보를 두 차례 획득하고 왕좌 타이틀을 차지했으며, 독창적인 바둑 이론을 개발하고 바둑 AI 개발에도 참여한 바둑 기사이다. - 일본의 바둑 기전 - 명인전 (일본)
일본 명인전은 요미우리 신문과 아사히 신문이 주최하는 일본의 주요 바둑 기전으로, 구 명인전과 현 명인전으로 나뉘어 명기사들이 명인 자리를 놓고 경쟁하며, 특정 조건을 달성한 기사에게는 명예 명인 칭호가 수여되고 풀리그 본선과 7번기 도전기로 진행되며 높은 상금이 걸려 있다. - 일본의 바둑 기전 - 기성전 (일본)
일본 기성전은 요미우리 신문 주최의 최고 권위 바둑 기전으로, 최고 상금을 자랑하며, 리그 시스템과 도전자 결정 토너먼트를 거쳐 기성 타이틀을 놓고 7번기를 벌이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기사에게는 명예 기성 자격이 주어진다. - 1954년 설립 - 주한 미군
주한미군은 1945년 인천 상륙 후 한반도에 주둔하며 일본군 무장해제, 한국 전쟁 참전을 거쳐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후 대한민국 안보에 기여하고 육군, 공군, 해군, 해병대 등 다양한 병과로 구성되어 활동 중이나, 규모, 역할, 주둔 비용, SOFA 개정 등 여러 쟁점이 있다. - 1954년 설립 -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은 원자폭탄 투하로 파괴된 히로시마 시의 부흥을 상징하며, 원폭 돔, 평화기념자료관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시설과 매년 8월 6일 평화 기념식 및 등롱 띄우기 행사가 열리는 곳이다.
|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 | |
|---|---|
| 기본 정보 | |
| 기전 이름 |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 |
| 다른 이름 | NHK Cup TV Go Tournament |
| 개요 | |
| 기전 종류 | 공식전 |
| 주최 | 일본방송협회, 일본기원 |
| 후원 | 간사이 기원 |
| 우승 상금 | 500만 엔 |
| 대국 방식 | 50명 선발 토너먼트 |
| 제한 시간 | 없음 |
| 초읽기 | 1수 30초, 1분 고려 시간 10회 |
| 창설 연도 | 1953년 |
| 개최 시기 | 4월 시작, 다음 해 3월 우승자 결정 |
| 역대 우승자 | |
| 전기 우승자 | 일력료 (제71회) |
| 명예 칭호 | 사카타 에이오 (명예 NHK배 선수권자) |
| 최다 우승 | 사카타 에이오 (11회) |
| 최장 연패 | 사카타 에이오, 요다 노리모토, 유키 사토시 (3연패) |
| 기타 | |
| 관련 링크 | 대국 예정・결과 NHK |
| 관련 링크 | NHK배 일본기원 |
2. 역사
NHK는 1946년 라디오를 통해 바둑 방송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바둑 강좌와 명국 해설을 주로 다루었으며, 이후 본인방전 등 주요 기전도 방송하게 되었다.
1953년, 아베 신노스케 경영 위원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가 시작되었다. 아베 신노스케는 쇼기의 NHK배 텔레비전 장기 토너먼트를 제안하기도 했다. 첫 대회는 8명이 출전하여 제한시간 50분, 초읽기 30초로 진행되었고, 시마무라 토시히로가 우승했다. 초기에는 흑번이 유리하여, 제3회부터 덤이 4집 반에서 5집 반으로 조정되었다. (이후 제51회부터는 6집 반으로 조정) 1956년에는 방송 시간과 제한 시간이 각각 30분, 25분으로 단축되었다.
1961년 NHK는 처음으로 바둑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다카가와 가쿠와 아마추어 본인방 무라카미 분쇼 간의 대국을 중계했다. 이후 몇 차례 시험 방송을 거쳐, 1962년 제10회부터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도 텔레비전으로 방송되기 시작했다. 1965년에는 초급자 코너가 신설되었고, 출전 선수가 16명으로 늘었으며, 제한 시간은 15분으로 단축되었다. 초기 해설은 하세가와 아키라가, 기보 해설은 혼다 사치코가 맡았다.[1]
출전 인원은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1]
| 회차 | 출전 인원 |
|---|---|
| 제1 - 13회 | 8명 |
| 제14 - 24회 | 16명 |
| 제25 - 28회 | 26명 |
| 제29회 - | 50명 |
2. 1. 창설 배경 (1946년 ~ 1961년)
1946년 NHK는 라디오(R2)을 통해 바둑 방송을 시작하여, 바둑 강좌와 명국 해설을 제공했다. 1953년에는 아베 신노스케 경영 위원의 추진으로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가 창설되었다. 아베 신노스케는 쇼기의 NHK배 텔레비전 장기 토너먼트도 제안한 인물이다.초기에는 8명이 출전하여 제한 시간 50분, 초읽기 30초로 대국을 진행했다. 제3회(1956년)부터는 흑백 형평성을 위해 덤을 4집 반에서 5집 반으로 조정했다. (이후 제51회부터는 6집 반으로 조정) 1956년에는 방송 시간 및 제한 시간이 단축되어 각각 30분, 25분이 되었다.
1961년 4월, NHK는 첫 바둑 TV 방송으로 다카가와 가쿠와 아마추어 본인방 무라카미 분쇼의 2점 바둑을 중계했다.
2. 2. TV 방송 전환과 발전 (1962년 ~ 현재)
1946년에 R2에서 바둑 방송을 시작한 NHK는, 1961년 4월에 처음으로 바둑 텔레비전 방송을 진행했다. 다카가와 가쿠와 아마추어 본인방 무라카미 분쇼의 대국이었으며, 해설자와 청취자가 대국판으로 해설하는 형태였다. 이후 시험 방송을 거쳐 1962년 제10회부터 본 기전(NHK배 TV 바둑 토너먼트)도 텔레비전 방송으로 전환되었다.[1]1965년에는 초급자 코너가 신설되었고, 출전 선수는 16명, 제한 시간은 15분으로 단축되었다. 초기 해설은 하세가와 아키라가, 기보 해설은 혼다 사치코가 담당했다.[1]
출전 인원은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1]
| 회차 | 출전 인원 |
|---|---|
| 제1 - 13회 | 8명 |
| 제14 - 24회 | 16명 |
| 제25 - 28회 | 26명 |
| 제29회 - | 50명 |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는 50명의 일본기원 소속 프로 바둑 기사들이 NHK배 챔피언 타이틀을 놓고 경쟁하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이다. 본선에는 시드 선수(고위 랭커, 기존 타이틀 보유자, 뛰어난 승률 기록 보유자 등)와 예선 통과자가 참가한다. 50명의 선수는 A, B 블록(각 25명)으로 나뉘어 경기를 치른다.
3. 대회 방식
6라운드 중 처음 5라운드는 각 블록 우승자를 결정하고, 두 블록 우승자는 6라운드에서 챔피언을 가린다. 현 챔피언과 준우승자 등 일부 선수에게는 1라운드 부전승이 주어져, 우승까지 5경기만 이기면 된다.
본선 50명은 NHK 텔레비전 스튜디오에서 대국을 녹화하며, 매년 4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 매주 1국씩 방송된다.
3. 1. 출전 자격 및 시드 배정
출전 기사는 50명으로, 일본기원과 간사이 기원 소속 프로 바둑 기사들이다. 2023년 기준 시드 배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전년도 우승자 및 준우승자 (확정 2회전 시드)
# 7대 타이틀 보유자 (확정 2회전 시드)
# 여류 타이틀 보유자 4명 (1회전부터 출전)
# 타이틀전 상금 획득 상위자
전년도 우승 및 준우승자는 결승까지 직접 대결하지 않도록 토너먼트표가 구성된다. 사카타 에이오의 은퇴 이후 명예 NHK배 선수권자는 없다.
3. 2. 대국 규정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는 일본기원 소속 프로 바둑 기사 50명이 참가하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이다. 대국 규정은 다음과 같다.3. 3. 상금
우승 상금은 5억엔이다.[1]
4. 역대 우승자
| 회수 | 연도 | 우승 | 전적 | 준우승 |
|---|---|---|---|---|
| 1 | 1954 | 시마무라 토시히로 | 1-0 | 다카가와 가쿠 |
| 2 | 1955 | 이와모토 가오루 | 1-0 | 후지사와 호사이 |
| 3 | 1956 | 하시모토 우타로 | 1-0 | 사카타 에이오 |
| 4 | 1957 | 사카타 에이오 | 1-0 | 후지사와 호사이 |
| 5 | 1958 | 1-0 | 기타니 미노루 | |
| 6 | 1959 | 1-0 | 다카가와 가쿠 | |
| 7 | 1960 | 기타니 미노루 | 1-0 | 후지사와 호사이 |
| 8 | 1961 | 사카타 에이오 | 1-0 | 기타니 미노루 |
| 9 | 1962 | 1-0 | 하시모토 우타로 | |
| 10 | 1963 | 하시모토 우타로 | 1-0 | 후지사와 히데유키 |
| 11 | 1964 | 사카타 에이오 | 1-0 | |
| 12 | 1965 | 1-0 | 미야시타 슈요 | |
| 13 | 1966 | 다카가와 가쿠 | 1-0 | 후지사와 히데유키 |
| 14 | 1967 | 하시모토 쇼지 | 1-0 | 후지사와 호사이 |
| 15 | 1968 | 오타케 히데오 | 1-0 | 하시모토 쇼지 |
| 16 | 1969 | 후지사와 히데유키 | 1-0 | 후지사와 호사이 |
| 17 | 1970 | 린하이펑 | 1-0 | 사카타 에이오 |
| 18 | 1971 | 오타케 히데오 | 1-0 | 이시다 요시오 |
| 19 | 1972 | 사카타 에이오 | 1-0 | 오타케 히데오 |
| 20 | 1973 | 오타케 히데오 | 1-0 | 하시모토 쇼지 |
| 21 | 1974 | 린하이펑 | 1-0 | (故)가토 마사오 |
| 22 | 1975 | 오타케 히데오 | 1-0 | 다케미야 마사키 |
| 23 | 1976 | 사카타 에이오 | 1-0 | 우칭위안 |
| 24 | 1977 | 1-0 | 다케미야 마사키 | |
| 25 | 1978 | 린하이펑 | 1-0 | 오히라 슈조 |
| 26 | 1979 | 히가시노 히로아키 | 1-0 | 다카키 쇼우이치 |
| 27 | 1980 | 하시모토 쇼지 | 1-0 | 조치훈 |
| 28 | 1981 | 후지사와 히데유키 | 1-0 | 다카키 쇼우이치 |
| 29 | 1982 | 사카타 에이오 | 1-0 | 스기우치 마사오 |
| 30 | 1983 | 조치훈 | 1-0 | 오타케 히데오 |
| 31 | 1984 | 혼다 쿠니히사 | 1-0 | 다케미야 마사키 |
| 32 | 1985 | 하시모토 쇼지 | 1-0 | 이시다 요시오 |
| 33 | 1986 | 고바야시 고이치 | 1-0 | 다케미야 마사키 |
| 34 | 1987 | 이시다 요시오 | 1-0 | 린하이펑 |
| 35 | 1988 | (故)가토 마사오 | 1-0 | 왕리청 |
| 36 | 1989 | 다케미야 마사키 | 1-0 | 고바야시 사토루 |
| 37 | 1990 | 이시다 요시오 | 1-0 | 오타케 히데오 |
| 38 | 1991 | 요다 노리모토 | 1-0 | 왕밍완 |
| 39 | 1992 | 조치훈 | 1-0 | 왕리청 |
| 40 | 1993 | 요다 노리모토 | 1-0 | (故)가토 마사오 |
| 41 | 1994 | 오타케 히데오 | 1-0 | |
| 42 | 1995 | 고바야시 사토루 | 1-0 | 키요나리 테츠야 |
| 43 | 1996 | 조치훈 | 1-0 | 고바야시 사토루 |
| 44 | 1997 | 왕리청 | 1-0 | 고바야시 고이치 |
| 45 | 1998 | 요다 노리모토 | 1-0 | 혼다 쿠니히사 |
| 46 | 1999 | 1-0 | 히가시노 히로아키 | |
| 47 | 2000 | 1-0 | 이마무라 토시야 | |
| 48 | 2001 | 이시다 요시오 | 1-0 | 조치훈 |
| 49 | 2002 | 장쉬 | 1-0 | 하네 나오키 |
| 50 | 2003 | 미무라 토모야스 | 1-0 | 왕리청 |
| 51 | 2004 | 고바야시 고이치 | 1-0 | 조치훈 |
| 52 | 2005 | 장쉬 | 1-0 | 요다 노리모토 |
| 53 | 2006 | 하네 나오키 | 1-0 | 이마무라 토시야 |
| 54 | 2007 | 조치훈 | 1-0 | 유키 사토시 |
| 55 | 2008 | 장쉬 | 1-0 | 조치훈 |
| 56 | 2009 | 유키 사토시 | 1-0 | 다케미야 마사키 |
| 57 | 2010 | 1-0 | 이야마 유타 | |
| 58 | 2011 | 야마다 기미오 | 1-0 | 요다 노리모토 |
| 59 | 2012 | 유키 사토시 | 1-0 | 하네 나오키 |
| 60 | 2013 | 1-0 | 이야마 유타 | |
| 61 | 2014 | 1-0 | 고노 린 | |
| 62 | 2015 | 이다 아쓰시 | 1-0 | 이치리키 료 |
| 63 | 2016 | 장쉬 | 1-0 | 데라야마 레이 |
| 64 | 2017 | 이야마 유타 | 1-0 | 이치리키 료 |
| 65 | 2018 | 1-0 | 시다 다쓰야 | |
| 66 | 2019 | 이치리키 료 | 1-0 | 이야마 유타 |
| 67 | 2020 | 이야마 유타 | 1-0 | 이치리키 료 |
| 68 | 2021 | 이치리키 료 | 1-0 | 위정치 |
| 69 | 2022 | 이치리키 료 | 1-0 | 다카오 신지 |
| 70 | 2023 | 세키 고타로 | 1-0 | 이치리키 료 |
| 71 | 2024 | 이치리키 료 | 1-0 | 시바노 도라마루 |
5. 명예 NHK배 선수권자
통산 10회 우승하면, 7대 타이틀전의 명예 칭호에 해당하는 "'''명예 NHK배 선수권자'''"(명예 NHK배) 칭호가 주어진다. 2022년 기준, 사카타 에이오(우승 11회)가 유일하게 이 칭호를 받았다. 하부 요시하루가 쇼기 명예 NHK배가 되기 전까지 바둑, 장기를 통틀어 유일한 칭호 획득자였다.
사카타 에이오는 NHK배에서 대국할 때, 사카타 명예 혼인보(이십삼세본인방)가 아닌, 사카타 명예 NHK배 선수권자로 불렸다.
| 기사 | 기 | 연패 | 년 |
|---|---|---|---|
| 사카타 에이오 | 11기 | 3연패 | 1957-59, 61-62, 64-65, 72, 76-77, 82 |
6. TV 방송
NHK는 1946년 라디오에서 바둑 방송을 시작했다. 1961년 4월 NHK 최초로 바둑 텔레비전 방송이 진행되었고, 1962년 제10회부터 본 기전이 텔레비전으로 방송되기 시작했다.[1]
대국은 NHK 텔레비전 스튜디오에서 녹화되며, 매년 4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 매주 1국씩 방송된다. 원칙적으로 격주 월요일에 도쿄도 시부야구에 있는 NHK 방송 센터에서 녹화가 진행되며, 약 1개월 후 방영된다.[1]
1997년 제45회부터는 바둑의 국제화에 맞춰 다다미가 깔린 화실 대신 의자 대국으로 변경되었다. 대국에 사용되는 테이블은 6촌(寸) 바둑판을 끼울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되었다.[1]
2020년(제68회)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녹화가 일시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으며, 일부 대국은 심야 시간대에 방송되었다.[1] 2021년(제69회)에는 2020년 하계 올림픽 및 2020년 하계 패럴림픽의 영향으로 일부 대국이 심야에 방송되었다.[1]
6. 1. 방송 특징
- 오프닝에서는 제57회(2009년)까지 사회자의 인사가 있었으나, 이후 폐지되었다가 제59회(2011년)부터 다시 부활했다. 제58회(2010년)와 제59회에서는 양 대국자의 대국 전 인터뷰도 방송되었다.[1]
- 대국 초반에는 사회자가 양 대국자의 전적을 구두로 소개한다. 1994년(제42회)부터 1995년(제43회), 2011년(제59회)에는 화면 정보로 소개했다.[1]
- 방송 시간이 빨리 끝나면 남는 시간에 국후 검토를 하거나, 과거 대국 VTR을 방영하기도 한다.[1]
- 현재 테마 음악은 2021년(제69회)부터 사용되었다. 이전에는 1994년(제42회)부터 2020년(제68회)까지, 1980년대부터 1993년(제41회)까지 다른 테마 음악이 사용되었다.[1]
- 1996년(제44회)부터 2009년(제57회)까지 오프닝 영상에 역대 우승자 사진을 표시했다.[1]
- 화면에서는 흑번 대국자가 왼쪽에, 백번 대국자가 오른쪽에 위치한다.[1]
- 2013년(제61회)부터 2020년(제68회)까지 승자가 자신의 승리 수나 좋은 수를 소개하는 "나의 한 수" 코너가 방송되었다.[1]
- 2020년(제68회)부터 자막 방송을 실시하며, 출연자별로 자막 색상을 구분한다.[1]
- 2021년(제69회)부터 AI 형세 판단을, 2022년(제70회)부터는 AI 추천 수도 화면에 표시한다.[1]
6. 2. 결승전 방송
결승전 방송에서는 NHK 아나운서가 사회를 맡고, 프로그램 시작 시 토너먼트 표로 승자 진출 결과를 간략하게 전달한다.[15] 그 후, 아나운서가 해설자와 진행자를 소개한다.[15] 아나운서가 진행자에게 프로그램 진행을 넘긴 이후는 결승전 이외의 대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15] 프로그램 마지막 부분에서는 준우승자에게 상장, 우승자에게 NHK배(우승 컵)와 상장이 수여되는 모습을 방송하며[15], 각 대국자가 소감을 이야기한다.[15] 마지막으로 사회자가 차기 방송 예정일을 전달하고 프로그램이 종료된다.[15]6. 3. 역대 사회자
| 방송 연도 | 사회자 |
|---|---|
| 1983년 | 오하시 토시오 |
| 1984년 ~ 1993년 | 오가와 세이코 (일시적으로 마도 카즈코가 담당) |
| 1994년 ~ 1995년 | 하라 사치코 |
| 1996년 ~ 1997년 | 우메자와 유카리 |
| 1998년 ~ 1999년 | 호사카 마유 |
| 2000년 ~ 2001년 | 이나바 로쿠코 |
| 2002년 ~ 2003년 | 만파 카나 |
| 2004년 ~ 2005년 | 아오바 카오리 |
| 2006년 ~ 2008년 | 나카지마 미에코 |
| 2009년 ~ 2011년 | 만파 나오 |
| 2012년 ~ 2014년 | 시모사카 미오리 |
| 2015년 ~ 2018년 | 나가시마 코즈에 |
| 2019년 ~ 2023년 | 호시아이 시호 |
| 2024년 | 야스다 아카 |
7. 에피소드
- 제54회(2006년) 1회전에서 나카노 야스히로 9단과 이시다 요시오 9단의 대국 중 나카노 9단이 자충수를 두어 패배했다. 해설자 고바야시 고이치는 매우 놀랐으며, 이 사건은 간사이 기원 바둑 가루타에 실렸다.[16] 나카노 9단은 "계산 실수"라고 밝혔다.
- 요다 노리모토 명인은 제50회(2002년)에 NHK 측과 트러블로 불참했으나, 이후 화해하여 제52회(2004년)에 준우승했다.
- 제58회(2010년) 2회전 이마무라 토시야 9단과 무라카와 다이스케 7단의 대국 중, 희귀한 "돌 밑" 형태가 나왔다. 해설자 요코타 시게아키는 "실전에서 처음 본다"며 놀랐다.
-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 본선 최고령 출전은 아리요시 미치오 74세이나, 사카타 에이오는 명예 NHK배 자격으로 79세까지 출전했다.
- 사카타 에이오, 후지사와 히데유키 등은 대국 중 흡연을 했다.[17]
- 제71회(2023년) 3회전에서 오오니시 류헤이 7단 휴장으로 고노 린 9단이 부전승, 준준결승에 진출했다.
8. 한국과의 관계
KBS 바둑왕전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1] 1990년대 후반 IMF 외환 위기 당시, 한국 기사들의 선전은 국민들에게 큰 감동과 희망을 안겨주었다. 이창호, 이세돌 등 정상급 기사들의 NHK배 참가는 한일 양국 바둑 교류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NHKテレビ囲碁トーナメント
http://cgi2.nhk.or.j[...]
NHK
2013-12-20
[2]
웹사이트
Welcome to the Nihon Ki-in
http://www.nihonkiin[...]
日本棋院
2013-12-20
[3]
웹사이트
囲碁のポータルサイト日本棋院
http://www.nihonkiin[...]
日本棋院
2013-12-20
[4]
웹사이트
NHK Cup
http://www.nihonkiin[...]
日本棋院
2015-07-11
[5]
뉴스
Yahoo!Finance Currency Converter
https://finance.yaho[...]
Yahoo!Finance
2013-12-19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뉴스
NHK、番組収録見合わせ 緊急事態宣言で大阪局なども
https://www.jiji.com[...]
[10]
문서
[11]
웹사이트
東京2020オリンピック放送計画(地上波)
https://sports.nhk.o[...]
NHK
2021-07-19
[12]
웹사이트
東京2020パラリンピック放送計画(地上波)
https://sports.nhk.o[...]
NHK
2021-07-11
[13]
웹사이트
月刊みなさまの声 2021年4月
https://www.nhk.or.j[...]
2021-06-08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